What to do? 이미지 업로더로 이미지를 프로젝트 static 폴더 내에 저장하고 DB에 이미지의 이름, 코멘트, static 폴더에 저장할 이미지의 이름과 확장자를 DB에 저장한 후 이를 이용해서 static 폴더내에 저장된 이미지를 불러와서 화면에 나타내보자! file은 일반 json 형식의 데이터와 다르게 formdata 형식으로 넣어서 보내자! static 폴더에 저장된 이미지 이름이 겹치면 안되므로 이미지 이름을 datetime 함수를 이용해서 날짜-시간으로 저장해주자!! 예시화면 순서 1-1. 클라이언트가 파일을 서버에 보내는 코드를 작성 Tip. 파일을 서버에 보낼때는 일반 JSON 형식의 파일이 아닌 formdata에 데이터를 넣어서 POST 요청으로 보낸다! Tip. 클라이언트가 P..
파일 업로드 파일을 업로드하려면 input 태그에 type 속성을 file로 설정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만 업로드 하는 경우는 accept 속성을 image/*와 같이 설정하면 된다. 만약 image 파일에서 png 확장자만 선택하고 싶다면 accept 속성에 image/png와 같이 설정하면 된다. 속성값 (files) 선택자나 jquery를 이용해서 file input 요소에 접근한 후에 files라는 속성값을 이용해서 파일의 객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는 jquery를 사용해서 해당 파일 객체를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아래와 같이 jquery를 임포트하고 file input에 id 값을 주자. 파일을 하나 선택한 후에 콘솔창을 열어보자! $('#file')[0] jquery로 해당 ..
Flask에 파비콘 적용하기 이미지를 static 폴더에 넣고 만약 파비콘의 이름이 favicon.ico라면 아래처럼 태그 사이에 작성해서 사용할 수 있다! 파비콘 제작 (참고용) 만약 간단한 파비콘을 가져다 쓰고 싶으면 구글에 이모지를 검색해서 사용할 수 있다! 파비콘을 제작하고 싶으면 아래 링크에 접속해서 파비콘을 제작할 수 있다. http://www.favicon-generator.org/ Favicon & App Icon Generator Upload an image (PNG to ICO, JPG to ICO, GIF to ICO) and convert it to a Windows favicon (.ico) and App Icons. Learn more about favicons. www.favi..
What to do? 네이버 영화 랭킹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영화의 평점 순위, 제목, 평점을 크롤링해서 mongoDB에 저장해보자 db의 이름은 duck, 콜렉션의 이름은 movies로 하자! https://movie.naver.com/movie/sdb/rank/rmovie.naver?sel=pnt&date=20210829 랭킹 : 네이버 영화 영화, 영화인, 예매, 박스오피스 랭킹 정보 제공 movie.naver.com 순서 request, bs4, pymongo 라이브러리 설치 크롤링할 데이터를 soup 객체에 저장 pymongo로 mongoDB와 연결 soup 객체에서 원하는 데이터만 추출해서 mongoDB에 저장 소스코드 import requests from bs4 import BeautifulS..
GCD 유클리드 호제법을 이용해서 간단히 구할 수 있다. 숫자 a와 b가 있을 때, a를 b로 나눈 나머지와 b 의 최대공약수 는 a와 b의 최대공약수가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def gcd(a, b): while b > 0: a, b = b, a % b return a LCD 두 수 a와 b가 있을 때 a와 b를 곱한 값에서 a와 b의 최대공약수를 나누면 된다! def lcm(a, b): return a * b / gcd(a, b)
BFS DFS 소스코드 주의사항! 각 노드에 연결된 자식 노드들은 꼭 정렬이 되어 있어야 한다! bfs, dfs 둘 다 앞에서부터 빠져나가는 식으로 구현했으므로 popleft를 사용함 dfs의 경우 extendleft로 왼쪽에 자식 노드를 추가해서 맨앞부터 빠져나가기 편하게 구현! extendleft를 사용할 때 예를 들어 [1, 2, 3]을 extendleft하면 [3, 2, 1] 순으로 deque의 왼쪽에 붙으므로 한번 reversed 해서 붙여줌! graph = dict() graph['A'] = ['B', 'C'] graph['B'] = ['A', 'D'] graph['C'] = ['A', 'G', 'H', 'I'] graph['D'] = ['B', 'E', 'F'] graph['E'] = ['D..